생태경관 보전지역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생태탐방
생태경관보전지역이란?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할 가치가 큰 지역으로서 환경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①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가치가 큰 지역
②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 또는 자연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보전이 필요한 지역
③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 지역
④ 하천·산간계곡등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
왕피천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왕피천 일원의 우수한 자연생태계와 이 지역에 서식하는 수달과 산양 등 멸종위기종과 희귀야생 동식물의 서식지 보전을 위하여 환경부에서 2005년 10월 14일 왕피천유역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고시하였습니다.
왕피천유역의 위치와 면적
왕피천 유역의 전체면적은 102.84㎢으로 북한산 국립공원 1.3배에 이릅니다. 이중에서 임야가 98㎢으로 약 96%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하천(0.9 ㎢), 구거(인공적인 수로 또는 그 부지, 0.5㎢), 답(0.3㎢) 순입니다.
생태경관보전지역 구분
구분 | 생태경관 보전 핵심구역 | 생태경관 보전 완충구역 | 생태경관 보전 전이구역 |
---|---|---|---|
면적 | 45.35㎢ (약 1,374만평) | 55.64㎢ (약 1,686만평) | 1.85㎢ (약 56만평) |
지정 | 2005.10 | 2006.12 추가지정 | 2006.12 추가지정 |
구역 | 왕피천 중심 핵심 보전지역 | 핵심구역의 연결지역 |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주민 최후지역 |
지역 | 울진군 금강송면·영덕피지 지역, 근남면 구시리와 수구리 일부 포함 | 금강송면 영피리와 상리,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와 신만리 일부 포함 | 울진군 금강송면 영피리와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신만리에 분포 |
왕피천의 식물자원
왕피천 유역의 대표적인 식물자원으로는 고리진달래, 산작약, 술나리, 노랑무늬붓꽃, 고려엉겅퀴 등이 있습니다.
꼬리진달래는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 바위틈이나 암석지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5월경 연분홍색 또는 자주색 꽃을 피웁니다. 잎은 길쭉하고 끝이 뾰족한 모양으로, 진달래보다 더 길어 ‘꼬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건조한 바위 지대에서도 생존력이 강하며, 주로 금강소나무 군락이 있는 울진 지역의 고산 능선에서 관찰됩니다. 한국 고유종이며, 개화 시 바위 사이에서 피어난 모습은 특히 아름답습니다.
산작약은 우리나라 중북부 산지의 숲 속 반그늘 지역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5~6월경 백색 또는 연분홍색의 큰 꽃을 피웁니다. 꽃은 향기가 있으며, 꽃잎은 넓고 둥글며 중심에는 노란 수술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뿌리는 한방에서 진통·진경제로 사용되었으며, 채취로 인해 개체 수가 줄어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 일반 작약과는 달리 자연 군락을 이루지 않고, 일부 고산 습지에서 드물게 발견됩니다.
솔나리는 여름철 산지의 양지바른 풀밭이나 자갈밭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7~8월경 주황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종 모양의 꽃이 아래를 향해 핍니다. 줄기는 가늘고 높이 30~100cm까지 자라며, 뿌리는 마늘처럼 둥글고 비늘줄기로 되어 있어 식용 가능하며 ‘산마늘’로 불리기도 합니다. 꽃잎이 뒤로 젖혀지는 특징이 있으며, 나리 종류 중에서도 희귀하고 자생지 보존이 중요한 식물입니다.
노랑무늬붓꽃은 붓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5~6월경 선명한 노란 바탕에 보랏빛 무늬가 섞인 아름다운 꽃을 피웁니다. 꽃잎은 6장이며, 바깥쪽 꽃잎에 선명한 반점이 있어 다른 붓꽃과 구별됩니다. 주로 숲가장자리, 산지의 습한 경사지 또는 풀밭에서 자라며, 이른 아침 햇살을 받을 때 가장 아름다운 색감을 드러냅니다. 관상용 가치도 높아 일부 지역에서는 인공 재배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자생지는 보호되어야 할 귀중한 생태 자원입니다.
고려엉겅퀴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울진, 삼척, 강릉 등 동해안 산지에 제한적으로 분포합니다. 6~8월경 줄기 끝에 자줏빛의 단일 두상꽃이 피며, 줄기와 잎에 단단한 가시가 있어 방어적 특징을 지닙니다. 건조하고 바람이 센 산비탈에서 잘 자라며, 토양 정화력과 토양 고정력이 뛰어나 산림생태계 유지에 기여합니다. 엉겅퀴류 중 잎의 결각이 깊고, 잎 뒷면이 흰빛을 띠는 것으로 구분됩니다.